본문 바로가기
= 일상의 3

장례식장 방문 시 절하는 법 , 종교별 인사방법 , 조문 시 복장

by 조각들 2023. 6. 30.

 

장례식장에 갑작스러운 방문 시 조문예절에 대하여 미처 생각하지 못하여 난감했던 기억이 있습니다. 이에 빈소방문할 때의 예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.

 

※ 조문과 문상 차이점
조문 은  조상 + 문상의 합성어입니다.
조상은 영정 앞에 두고 조상님께 절하는 것을 의미하며 , 문상은 상주에게 인사하는 것을 뜻합니다.
이에 상갓집에 방문하는 경우 "문상 간다"는 표현보다는 "조문 간다"라는 표현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장례식 방문 시 절하는 법


전통식 조문 예법

 

① 빈소에 들어서면 상주와 목례를 나눕니다

 

② 준비된 향을 들어 불을 붙인 후 향을 흔들거나 왼손으로 부채질하여 끕니다 (절대 입으로는 끄지 마세요)

향로에 향을 꼽고 영정을 향해 묵념 후 절을 두 번 합니다.

 

조문 시에는 특별하게 다른 절하는 법이 있는 것은 아니고 
남자는 큰절/ 여자는 평절을 하되 바른 자세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★ 장례식장에서 절하는 법에서는 손의 위치가 중요 ★

남자 : 오른손이 위로
여자 : 왼손이 위로

 

③ 이후 영정 앞에서 물러서 상주와 맞절을 합니다 절하는 횟수는 한번입니다.

 

④ 절을 한 후에는 간단한 인사말을 하는 것도 좋지만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예의입니다.

 

⑤ 빈소를 나올 때는 몸을 획 돌려 나오기보다는 한두 걸음 뒷걸음 후 나오는 게 좋습니다.

 

 

 

기독교식 조문 예절

① 빈소에 들어서면 상주와 목례를 나눕니다

 

② 준비한 국화꽃을 영정 앞에 선화 합니다 헌화의 경우는 꽃은 오른손으로 / 왼손으로 오른쪽 손을 받칩니다

 

 한걸음 물러서 고개 숙여 잠시 묵념을 합니다

 

 ④ 영정 앞에서 물러서 상주와 마주하여 맞절을 합니다 절하는 횟수는 1회입니다.

(상주와 맞절을 하는 것은 종료적으로 위배되는 것은 아닙니다 , 다만 원하지 않는다면 가벼운 목례를 해도 좋습니다)

 

⑤ 절을 한 후에는 간단한 인사말을 하는 것도 좋지만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예의입니다.

 

⑥ 빈소를 나올 때는 몸을 획 돌려 나오기보다는 한두 걸음 뒷걸음 후 나오는 게 좋습니다.

 

 

장례식장에서 주의해야할 점에 대한 설명 그림
장례식장 복장에 대한 설명의 이미지

 

 

장례식장 / 빈소 방문 시 절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.

젊은 사람들의 경우 장례식에  방문한 경험이 많지  않기 때문에 어려울 수 있는 장례식장 예절에 대해서 빠르게 파악하여 실수하는 일이 없도록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.

댓글